AI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 | 리벨리온 지분투자 기업은 어디일까?

AI반도체 시장의 성장과 국내 기업

AI반도체는 향후 주식시장을 지속적으로 주도할 핵심테마입니다. 최근에는 제주반도체, 가온칩스, 퀄리타스반도체 등이 NPU와 온디바이스AI 모멘텀을 업고 반도체 섹터의 상승을 이끌고 있습니다.

아직 국내 상장 팹리스 기업들의 대부분은 모바일 메모리 반도체, 디스플레이 반도체 등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적어도 국내에서는 AI반도체 시장의 성장이 IP기업과 가온칩스나 에이디테크놀로지와 같은 디자인하우스에 더 많은 수혜를 줄 수 있다고 보기도 합니다.

다만 비상장 기업으로 시야를 확대해보면 국내에서도 리벨리온, 딥엑스, 사피온, 퓨리오사와 같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AI 스타트업 팹리스 기업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엔비디아를 꿈꾸는 AI반도체 스타트업 리벨리온

그 중 리벨리온은 2020년 미국 MIT 박사 출신인 박성현 대표가 창업한 AI스타트 기업으로, 박성현 대표는 리벨리온 이전 인텔, 스페이스X, 그리고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서 일한 경험을 가지고 있습니다.

리벨리온은 삼성전자의 SAFE(Samsung Advanced Foundry Ecosystem) 파트너로, 이미 금융거래에 특화된 AI반도체 아이온과 아톰을 제품으로 출시하였습니다. 현재 1,000억개의 파라미터까지 처리가능한 추론학습 AI반도체 리벨(REBEL)의 개발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특화된 성능이 중요시 되는 AI반도체에서 리벨리온의 제품은 해당 분야에서 퀄컴과 엔비디아의 제품보다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러한 리벨리온의 기술력과 AI반도체 시장의 급격한 성장 속에 창업 3년만에 2,800억원의 투자자금을 성공적으로 조달하고 1조원 가까운 기업가치를 평가받고 있습니다.

리벨리온 지분 보유 기업

리벨리온은 최근 1,650억원 규모로 시리즈B까지 투자유치를 마무리 한 상태입니다. 따라서 당분간은 신규 자금조달이 없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직 IPO를 논하기에는 다소 이른 상태이지만 향후 기업가치를 확인할 때 마다 리벨리온 투자기업에 대한 모멘텀도 계속될 것입니다.

리벨리온의 최대 투자기업은 리벨리온의 2대 주주이기도 한 KT입니다. 리벨리온의 아톰은 KT 클라우드에 적용되고 있기도 합니다. 최근 KT는 리벨리온외에도 업스테이지, 콴다 등 다수의 AI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KT외에 한국산업은행, 파빌리온캐피탈, KB증권, SV인베스트먼트, IMM인베스트먼트, 노엔파트너스 등이 시리즈 A와 시리즈 B 투자에 참여했습니다.

시리즈A 투자기업 (`22.6.3. | 투자유치 920억원 | 기업가치 3,500억원)

  • KT 한국산업은행
  • 미래에셋벤처투자
  • SV인베스트먼트
  • IMM인베스트먼트
  • KB인베스트먼트
  • KT인베스트먼트
  • 미래에셋캐피탈
  • 지유투자
  • 서울대학교기술지주
  • 파빌리온캐피탈
  • 카카오벤처스

시리즈B 투자기업 (`23.12. ~ `24.2. | 투자유치 1,650억원 | 기업가치 8,800억원)

  • KT
  • 한국산업은행
  • 파빌리온캐피탈
  • KB증권
  • 노엔파트너스
  • SV인베스트먼트
  • IMM인베스트먼트

아직 리벨리온의 사업보고서가 공개되지 않는 상태라 각 투자기업의 보유 지분을 정확히 확인할 순 없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벤처기업들의 투자규모를 감안 시 10억원~100억원 내외의 규모의 투자로 짐작할 수 있습니다.

현재 KT를 제외하고 전체 사업 비중을 감안해 시장에서 리벨리온의 관련주로 평가될 만한 기업은 벤처캐피탈기업인 미래에셋벤처투자와 SV인베스트먼트입니다.

미래에셋벤처투자의 시리즈A 투자금액은 50억원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를 기준으로 보유지분율 1% 내외로 추정해 볼 수 있습니다. 비슷한 규모의 투자를 가정 시 미래에셋벤처투자보다는 시총이 작은 SV인베스트먼트이 좀 더 리벨리온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리벨리온 사업연관 기업

삼성전자와 KT를 제외하고 리벨리온과 사업적으로 관련된 중소형 종목으로는 반도체 검사기업인 큐알티가 있습니다. 큐알티는 과거 SK하이닉스의 자회사인 SK하이이엔지의 사업부가 독립한 기업입니다.

큐알티는 물리적 테스트를 포함하여 반도체의 내구성과 성능 테스트를 진행하는 업체입니다. AI반도체 등 신규 시스템 반도체 확대와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사업구조를 가지고 있는 기업입니다. 리벨리온과는 2023년 AI반도체 분석 등을 위한 MOU를 체결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벨리온 관련주 1. | SV인베스트먼트

□ 시가총액 및 주가 수익률 현황 (기준일 : 2024.2.29.)

  • 시가총액 : 1,216억원 (외국인 지분율 : 0%)
  • 현재주가 : 2,285원
  • 52주 주가 : 최저가 1,678원 (36.2%↑) ~ 최고가 2,655원 (-13.9%↓)
  • 최근 수익률 : (1개월) +7.78%, (3개월) +20.01%, (1년) -4.99%

□ 밸류에이션

  • PER : 35.2배 (2023년 EPS 65원 기준)
  • PBR : 1.7배 (최근3년 평균 PBR : 2.9배)
  • ROE : 4.95% (최근3년 평균 ROE : 12.34%)
  • 배당수익률 : 0.9% (2023년 주당 배당금 20원 기준)
  • 주당배당금 : (2021년) 50원 → (2022년) 60원 → (2023년) 20원

□ 기업실적(억원)

  • 2021 : 매출 299 (yoy) 157.8%, 영업이익 110 (yoy) -558.3%, 순이익 89 (yoy) -470.8%
  • 2022 : 매출 315 (yoy) 5.4%, 영업이익 138 (yoy) 25.5%, 순이익 107 (yoy) 20.2%
  • 2023 : 매출 254 (yoy) -19.4%, 영업이익 45 (yoy) -67.4%, 순이익 34 (yoy) -68.2%
sv인베스트먼트 실적그래프
SV인베스트먼트

리벨리온 관련주 2. | 큐알티

□ 시가총액 및 주가 수익률 현황 (기준일 : 2024.2.29.)

  • 시가총액 : 4,579억원 (외국인 지분율 : 2.8%)
  • 현재주가 : 38,200원
  • 52주 주가 : 최저가 10,820원 (253%↑) ~ 최고가 40,800원 (-6.4%↓)
  • 최근 수익률 : (1개월) +59.17%, (3개월) +147.57%, (1년) +198.20%

□ 밸류에이션

  • PER : 53.1배 (2022년 EPS 720원 기준) → 132.6배 (2023년 예상 EPS 288원 기준)
  • PBR : 4.4배 (최근3년 평균 PBR : 0.5배)
  • ROE : 9.25% (최근3년 평균 ROE : 26%)
  • 배당수익률 : 1.3% (2022년 주당 배당금 480원 기준)
  • 주당배당금 : (2020년) 0원 → (2021년) 0원 → (2022년) 480원

□ 기업실적(억원)

  • 2020 : 매출 547 (yoy) 14.9%, 영업이익 91 (yoy) 35.8%, 순이익 57 (yoy) 26.7%
  • 2021 : 매출 719 (yoy) 31.4%, 영업이익 165 (yoy) 81.3%, 순이익 125 (yoy) 119.3%
  • 2022 : 매출 596 (yoy) -17.1%, 영업이익 103 (yoy) -37.6%, 순이익 64 (yoy) -48.8%
  • 2023E : 매출 538 (yoy) -9.7%, 영업이익 28 (yoy) -72.8%, 순이익 34 (yoy) -46.9%
  • 2024E : 매출 715 (yoy) 32.9%, 영업이익 154 (yoy) 450%, 순이익 130 (yoy) 282.4%

□ 최근 주요뉴스

  • [이데일리] 큐알티, KIST와 우주용 반도체 방사선 평가기술 공동연구 협약 (2024.01.)
  • [머니투데이] “한국의 칩 닥터, 수요 늘어난다”…큐알티 52주 신고가 (2024.01.)
큐알티 실적그래프
큐알티

신뢰할 수 있는 자료에 기반하나 오류가 있을 수 있으며, 투자 판단과 결과 등에 대한 책임소재가 될 수 없는 참고자료입니다. 모든 글의 저작권은 Market Insights에 있으며 무단복제를 금지합니다.